http://ko.m.wikipedia.org/wiki/%ED%95%9C%EA%B5%AD%EC%9D%98_%EB%8F%84%EA%B5%90_%EC%82%AC%EC%83%81주석편집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도교 > 한국도교의 사상·문화 > 한국도교의 사상·문화〔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유·불·도 사상을 혼합 제시한 계훈교단 도교(敎團道敎)군장(君長)천·지·인의 권능지금의 전주제13대봉우리 셋이성 도야(理性陶冶)정서 도야(情緖陶冶)신라선파 중의 한 사람827년∼895년. 신라 말기의 사람으로 영암 출신지금의 장단군 백학산지금의 개풍군 대성군지금의 황해도 신계군 초면삼한시대 부족국가의 수호신을 위하던 대목(大木)·간목(竿木)?∼1135년. 서경의 술승(術僧)·도승(道僧)으로 후에 정심(淨心)이라 불렀음?∼1135년. 고려때 일관(日官)으로 묘청에게 사사(師事)한 제자선비태상노군(太上老君)중국의 관운장풍속(風俗)주로 유·불·선 3교천주교와 그 문화 및 학문을 가리킴1871년∼1909년. 호는 증산(甑山), 전북 정읍 출생성리학(性理學)도술(道術)300년∼550년쑥정령(精靈)선도(仙道)
한국의 도교
Saxony-Anhalt
Lied für Sachsen-Anhalt ("Song for Saxony-Anhalt")Motto: Land of the Early Risers
Saxony-Anhalt was part of the communist German Democratic Republic. After the breakdown of communism and the German reunification in 1990, the collapse of non competitive former GDR industries temporarily caused severe economic problems. In 2000, Saxony-Anhalt had the highest unemployment rate of all German states, at 20.2%.[13]
However, the process of economic transformation towards a modern market economy seems to be completed. Massive investments in modern infrastructure have taken place since 1990, and the remaining and newly created businesses are highly competitive. For example, the industry has doubled its share of international revenue from 13 percent in 1995 to 26 percent in 2008.[14] Meanwhile, the unemployment rate has fallen considerably.[15] By 2010 the GDP of Saxony-Anhalt was almost two and a half times higher than it was in 1991.[16]
Even though part of this recovery was induced by the quite good performance of the Germany economy, Saxony-Anhalt did not only follow the national trend, but clearly outperformed other German states. For example, it got ahead of three German states in terms of unemployment (10.8%, as of September 2011): the German capital andcity-state of Berlin (12.7%), the city-state Free Hanseatic City of Bremen (11.3%), andMecklenburg-Western Pomerania (11%).[17]
Structure of the economyThe chemical industry is quite important, with almost 25,500 employees across 214 plants in 2010.[18] One of the biggest chemical producing areas can be found around the city of Bitterfeld-Wolfen. Because of the chemical industry, Saxony-Anhalt attracts more foreign direct investments than any other state in eastern Germany.The state is the location of numerous wind farms producing wind-turbine energy.Saxony-Anhalt is also famous for its good soil. Hence, the food industry has an important role with almost 19,500 employees across 190 plants in 2010.[18] Some of the best known products are Baumkuchen from Salzwedel and Halloren chocolate globes from Germany’s oldest chocolate factory in Halle
Saxony-Anhalt were non-denominational and more were leaving the churches than entering them.[10] 17.6% of Saxon-Anhaltish adhere to the major denominations of Christianity (14.1% are members of the Evangelical Church in Germany and 3.5% are Catholics),[11] 2% are members of other religions[10] (mostlyJudaism, the New Apostolic Church, Islam and Mandeism). 80.4% of the citizens of Saxony-Anhalt are religiously unaffiliated.[10]
Coat-of-arms of Saxony-Anhalt between 1946 and 1952.
In April 1945 the US Army took control of most of the western and northern area of the future Saxony-Anhalt. The U.S. Group Control Council, Germany (a precursor of the OMGUS) appointed the first non-Nazi officials in leading positions in the area. SoErhard Hübener, furloughed by the Nazis, was reappointed Landeshauptmann (state governor). By early July the US Army retired in order to allow the Red Army taking Prussian Saxony as part of its Soviet occupation zone, as agreed by the London Protocol in 1944.
On 9 July the Soviet SVAG ordered the merger of the Free State of Anhalt, Halle-Merseburg, the governorate of Magdeburg (in its then borders), Allstedt (before Thuringia) and some Brunswickian eastern exclaves and salients (Calvörde and the eastern part of the former Blankenburg district[6]) into the Prussian Province of Saxony.[7] While the prior Saxon Erfurt governorate had become a part of Thuringia.
For the earlier history see the respective articles of these entities before 1945. Anhalttakes its name from Anhalt Castle near Harzgerode; the origin of the name of the castle remains unknown.
The SVAG appointed Hübener as president of the provincial Saxon administration, a newly created function. The administration was seated in Halle an der Saale, which became the capital, also of later Saxony-Anhalt until 1952. On 3 September 1945 the new administration enacted by Soviet-inspired ordinance the mass expropriations, mostly hitting holders of large real estates, often of noble descent.
On the occasion of the first as well as one and only election in the Soviet zone, allowing parties to really compete for seats in provincial and state parliaments, on 20 October 1946, the Province of Saxony was renamed into Province of Saxony-Anhalt(Provinz Sachsen-Anhalt), accounting for the prior merger.[7] On 3 December 1946 the members of the new provincial parliament elected Hübener the first minister-president of Saxony-Anhalt with the votes of CDU and Liberal Democratic Party of Germany (LDPD). So he became the only governor in the Soviet zone, who was no member of the communist Socialist Unity Party of Germany (SED). He was an inconvenient governor for the Soviet rulers.
After the official Allied decision to dissolve the Free State of Prussia, which had remained in limbo since the Prussian coup of 1932, its former provinces, in as far as they still existed, achieved statehood, thus the province emerged into the State of Saxony-Anhalt on 6 October 1947.[7] It became part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East Germany) in 1949. From 1952 to 1990 the East German states had been suppressed and Saxony-Anhalt's territory was divided into the East German districts of Halle and Magdeburg. In 1990, in the course of German reunification, the districts were reintegrated as a state.
Saxony-Anhalt (German: Sachsen-Anhalt, pronounced [ˌzaksn̩ ˈanhalt][2]) is a landlocked federal state of Germany surrounded by the federal states of Lower Saxony, Brandenburg, Saxony and Thuringia.
Its capital is Magdeburg. Saxony-Anhalt covers an area of 20,447.7 square kilometres (7,894.9 sq mi).[3] and has a population of 2.34 million.
Saxony-Anhalt should not be confused with Saxony or Lower Saxony, also German states.
Saxony-Anhalt
Sachsen-Anhalt (German)
The Free State of Saxony (German: Freistaat Sachsen [ˈfʁaɪ̯ʃtaːt ˈzaksən]; Upper Sorbian: Swobodny stat Sakska; Czech: Sasko) is a landlocked federal state ofGermany, bordering the federal states of Brandenburg, Saxony Anhalt, Thuringia, andBavaria, as well as the countries Poland and the Czech Republic. Its capital isDresden.
It is the tenth-largest of Germany's sixteen states in area, with an area of 18,413 square kilometres (7,109 sq mi), and, with a population of 4.3 million, the sixth most populous German state.
Located in the middle of a former German-speaking part of Europe, the history of the state of Saxony spans more than a millennium. It has been a medieval duchy of the Holy Roman Empire, a kingdom, and twice a republic.
The area of the modern state of Saxony should not be confused with Old Saxony, the area inhabited by Saxons. Old Saxony corresponds approximately to the modern German states of Lower Saxony, Saxony-Anhalt and the Westphalian part of North Rhine-Westphalia.
Saale-Orla is a Kreis (district) in the east of Thuringia, Germany. Neighboring districts are (from the north clockwise) the districts Saale-Holzland, Greiz, the Vogtlandkreisin Saxony, the Bavarian districts Hof and Kronach, and the district Saalfeld-Rudolstadt.
영어(en): moxa중국어(zh): 艾绒(간체)/艾絨
부사
쑥
영어(en): moxa중국어(zh): 艾绒(간체)/艾絨
▶ 쑥의 효능 ◀
*쑥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산성화된 체질을 중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리 몸의 자연 생리 기능을 강화시켜병의 근원을 치료하는 약리 작용이 있다.
*혈행을 돕는 기능이 있어 위장 점막의 혈행을 좋게 하기 때문에
위장이 튼튼해진다.식욕을 돋우는 효과도 있다
*피를 맑게 하는 정혈 작용이 뛰어나다.
혈액 순환이 좋아져 여러 가지 병이 치료된다.
*혈액 속에서 해로운 병균을 잡아먹는 백혈구의 수를 늘려 면역 기능을 높이고,
살균 효과가 있다. 어떤 항생제보다 안전하고 효과가 좋다.
*고혈압과 동맥경화를 예방한다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혈관의 수축과 이완 기능을 좋게 한다.혈액 순환을 돕기 때문에 고혈압과
동맥경화 등의 성인병을 예방한다.
*간의 해독과 알코올 분해 작용이 뛰어나 손상된 간 기능의 회복을 돕는다.
이담 작용, 항균 작용, 구충 작용이 있어 황달과 간염 치료에도 효과가 좋다.
*몸 안의 냉기와 습기를 내보내는 작용을 한다.
몸을 따뜻하게 해 여러 가지 부인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대장의 수분 대사를 조절한다. 배의 냉증을 몰아내고 장 운동과
점액 분비를 원활히 해 변을 부드럽게 만든다. 변이 묽을 때도 효과가 있다.
*악취와 나쁜 성분을 흡수하는 작용이 있어 공기를 맑게 만든다.
*쑥의 성분으로 특징적인 것은 독특한 향기를 발휘하는
정유(精油)성분을 비롯해 칼슘 (93 mg), 섬유질(3.7 g),
비타민 A(7,920 IU), 비타민 B1(0.44 mg), 비타민 C(75 mg)와
다량의 엽록소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쑥은 사람에게는 약이 되지만 해충에게는
독이 되기 때문에 구충제로도 쓰인다.
◈ 주의할점 ◈
*쑥은 뜨거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은 금하는게 좋다
*약쑥이란 (艾葉) 일반 논뚝에 있는 쑥은
월래는 약쑥이 아니다
한방에서 사용하는 별도의 쑥이있다
▶ 쑥국 끓이는 방법 ◀
1, 일단 쌀은 물에 30분 정도 불립니다.
2. 토란은 껍질을 까서 물에 담가 놓아요.
3. 불린 쌀에 물을 조금 붓고 들깨가루와 함께 믹서에 넣고 곱게 갈아줘요.
4. 쑥은 티를 골라낸후 손바닥으로 으깨가며 박박 문질러 씻습니다.
5. 불린 쌀과 들깨가루를 함께 간 것에 물을 붓고 냄비에 담아 끓입니다.
이때 토란도 같이 넣고 끓여 주어요. 토란은 익는데 시간이 좀 걸리니까
첨부터 같이 넣고 끓여 주어야 해요.
(시간이 많이 걸릴 경우에는 토란은 따로 삶아서 함께 넣어 주세요.)
6. 끓기 시작하면 수저로 계속 저어 주어야 해요.
안그러면 냄비 바닥에 모두 눌어 붙어서 나중에 골치 아프거든요.
토란이 무르도록 익을때까지 저어주며 끓이면 어느 정도 국물에서 맛이 우러나죠.
이때 씻어놓은 쑥을 넣고 잘 섞어가며 다시 끓여 줍니다.
7. 6이 한소끔 끓으면 마늘 다진 것을 듬뿍 넣고 조금 더 저어주며 끓이다가
소금으로 간을 맞춥니다.
쑥국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마늘을 많이 넣는 것이예요.
마늘을 넣지 않으면 맛이 안나죠.
8. 대접에 담아내어 밥을 말아 먹어도 좋고 술상에서 올려놓고
국물을 떠먹어도 좋아요.
속을 보호해 주는 효과가 있는거 같아요.
출처 : http://cafe.daum.net/happiness007/1s6M/817?docid=hfEu|1s6M|817|20090415164606&q=%BE%A6%B1%B9%20%B9%E6%B9%FD
쑥은 까마득히 아주 먼 옛날부터 사람보다 먼저 이 지구상에 존재하였으며, 말없이 인류에게 유익을 주고 있는 식물중에 ...
http://jdm0777.com/jdm/ssuk.htm쑥은 까마득히 아주 먼 옛날부터 사람보다 먼저 이 지구상에 존재하였으며, 말없이 인류에게 유익을 주고 있는 식물중에 ...
쑥은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 문화어: 약쑥)에 속하는 다년생초의 하나이다. 목차. [숨기기]. 1 생태; 2 이용; 3 갤러리 ...
생태 - 이용 - 갤러리 - 국화 잎과의 구별
쑥
국화과의 다년초. 들판의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라며, 어린 순은 떡에 넣어서 먹거나 된장국을 끓여 먹는다. 약재로 쓰는 것은 예로부터 5월 단오에 채취하여 말린 것이 가장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다고 한다.
출처 : doopedia.co.kr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약쑥·사재발쑥·모기태쑥이라고도 한다.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60∼120cm이다. 아르테미시아속에 속한 식물 중 쑥과 겉모습이 비슷한 것은 모두 쑥이라고 한다. 이중 특히 뜸에 사용하는 종을 참쑥이라고 하여 구별한다. 쑥 종류는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구별하기 어려우나, 두화(頭花)의 크기와 잎의 모양 등으로 구분한다. 참쑥은 쑥과 비슷하지만 잎 겉면에 흰 털이 난 점이 있어 구별한다.
쑥은 쑥 종류 중 가장 흔하게 자라는 것을 가리킨다. 줄기에 능선이 있으며 전체에 거미줄 같은 털이 빽빽이 난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으며 싹이 나와 무리지어 난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헛턱잎[假托葉]이 있으며 타원형이고 길이 6∼12cm, 너비 4∼8cm이다. 깃처럼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2∼4쌍이지만 위로 올라가면서 잎이 작아지고 갈래조각의 수도 줄어 단순한 잎으로 된다. 꽃이삭에 달린 잎은 줄 모양이다.
꽃은 7∼9월에 연한 붉은 자줏빛으로 피는데, 길이 2.5∼3.5mm이고 두화가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리며 전체가 원추꽃차례로 된다. 총포는 긴 타원형의 종 모양이며 길이 2.5mm, 지름 1.5mm로서 거미줄 같은 털이 난다. 포조각은 4줄로 늘어서며 바깥조각은 달걀 모양, 안조각은 긴 타원형이다. 열매는 수과로서 10월에 익으며 길이 약 1.5mm이다. 번식은 종자나 꺾꽂이, 포기나누기 등으로 한다.
쑥은 우리 민족과 관계가 깊어 단군신화에도 등장한다. 어린순은 떡에 넣어서 먹거나 된장국을 끓여 먹는다. 약재로 쓰는 것은 예로부터 5월 단오에 채취하여 말린 것이 가장 효과가 크다고 한다. 복통·토사(吐瀉)·지혈제로 쓰고, 냉(冷)으로 인한 생리불순이나 자궁출혈 등에 사용한다. 여름에 모깃불을 피워 모기를 쫓는 재료로도 사용하였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